Q&A
서비스 이용 중 궁금한 점은 언제든 문의해주세요
<도덕경 완전해석> 본문한자 생략건
- 조회 : 4,679
- 등록일 : 2022.04.28
주의사항에 본문의 보충설명된 한자는 모두 생략한다고 되어있습니다.
<'주周'라는 글자가 주문왕周文王, 주대周代를 뜻하기도 하지만 '주기周期' '두루 맴돌다'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다. '주역'은 주기가 변한다는 뜻이 다.『주역』의 건乾, 곤坤에서 시작하여 기제旣濟, 미제未濟에 이르는...>
상기 내용처럼 한글에 부연되어있는 한자는 모두 생략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.
다음은 문장을 해석한 내용들인데,
<노자는 여러 차례 '반反'을 언급하였다. 이를테면 '큰 것은 가기 마련이 고, 가는 것은 멀어지며, 멀어진 것은 되돌아오기 마련이다.大曰逝, 逝曰遠, 遠曰反'라는 표현이 그 예다. 가끔은 '복復'과 '귀歸'를 쓰기도 했는데 예를 들면 이렇다. '다시금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돌아간다.復歸於無物' '갓난아 기와 같은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.復歸於嬰兒' "다함이 없는 상태로 다시 돌 아간다.復歸於無極' '질박한 본연의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.復歸於樸'...>
이런 부분의 한자도 모두 생략하고 한글해석부분만 남기는 것을 말하는 지요?
즉 본문의 한자들은 대부분 생략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맞는지요?
<'주周'라는 글자가 주문왕周文王, 주대周代를 뜻하기도 하지만 '주기周期' '두루 맴돌다'라는 의미도 있기 때문이다. '주역'은 주기가 변한다는 뜻이 다.『주역』의 건乾, 곤坤에서 시작하여 기제旣濟, 미제未濟에 이르는...>
상기 내용처럼 한글에 부연되어있는 한자는 모두 생략하는 것으로 이해됩니다.
다음은 문장을 해석한 내용들인데,
<노자는 여러 차례 '반反'을 언급하였다. 이를테면 '큰 것은 가기 마련이 고, 가는 것은 멀어지며, 멀어진 것은 되돌아오기 마련이다.大曰逝, 逝曰遠, 遠曰反'라는 표현이 그 예다. 가끔은 '복復'과 '귀歸'를 쓰기도 했는데 예를 들면 이렇다. '다시금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 돌아간다.復歸於無物' '갓난아 기와 같은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.復歸於嬰兒' "다함이 없는 상태로 다시 돌 아간다.復歸於無極' '질박한 본연의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.復歸於樸'...>
이런 부분의 한자도 모두 생략하고 한글해석부분만 남기는 것을 말하는 지요?
즉 본문의 한자들은 대부분 생략되는 것으로 이해가 되는데 맞는지요?
댓글
Loading..